2025 경기 청년기본소득 신청 총정리
– 분기별 25만 원, 온라인으로 간편하게
(2025년 10월 기준)
※ 본문 내용은 2025년 10월 25일 기준 경기도청·경기청년포털 공시 자료를 바탕으로
작성되었습니다.
실제 지급 시기·신청 방법은 각 시군별 공지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
1️⃣ 청년기본소득이란?
청년기본소득은 **경기도가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(연 100만 원)**을
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청년의 사회 진입을 지원하고,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현금성 복지정책으로
2019년부터 시행 중입니다.
“단순 복지”가 아닌 지역경제 순환형 기본소득 모델이라는 점이 핵심이에요.
2️⃣ 2025년 4분기 신청 일정
1. 신청 기간: 2025년 10월 15일(화) ~ 11월 24일(일)
2. 신청 방법: 경기청년포털 또는 모바일 ‘경기도청년기본소득’ 앱
3. 지급 시기: 12월 중순 이후 경기지역화폐로 순차 지급
3️⃣ 지원 대상 조건 (2025년 기준)
| 구분 | 기준 내용 |
| 연령 | 1999년 10월 2일 ~ 2000년 10월 1일 출생자 (만 24세) |
| 거주 요건 | 경기도에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청년 |
| 국적 | 대한민국 국적자 (외국인 영주권자는 제외) |
| 소득 요건 | 별도 소득 기준 없음 (청년 누구나 가능) |
👉 예를 들어, 부모님 집에서 계속 거주 중인 청년도 지원 가능하며,
대학생·취준생·근로자 모두 포함됩니다.
4️⃣ 신청 방법 자세히 보기
🔹 온라인 신청 절차
1. 경기청년포털 접속 → https://apply.jobaba.net
2. “청년기본소득 4분기 신청하기” 클릭
3. 본인인증 (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)
4. 거주기간 자동 확인 → 지역화폐 카드 선택
5. 신청 완료 후 ‘승인 대기’ 상태로 변경 확인
📌 유의사항:
- 신청 기간 내 미신청 시 소급 지급 불가
- 지역화폐 앱(예: 경기페이)에 카드 등록 필수
- 주소 변동자는 주민등록 초본 기준으로 산정됨
5️⃣ 지급 형태와 사용처
1. 지급 수단: 경기지역화폐(모바일 또는 카드형)
2. 사용 가능처: 전통시장, 소상공인 매장, 카페·편의점 등
3. 제외 업종: 백화점, 대형마트, 유흥·사행성 업종
💡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경기도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6️⃣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다른 복지수당(예: 청년노동지원금)과 중복 수급 가능한가요?
👉 가능합니다. 단, 동일 목적으로 지급되는 타 지역 기본소득과는 중복 불가합니다.
Q2. 주소만 경기도고 실제 근무지는 타지역이면?
👉 거주 요건 충족 시 가능합니다. 소득·직장 위치는 무관합니다.
Q3. 지역화폐 잔액 유효기간은?
👉 지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 사용해야 하며, 기간 내 미사용분은 자동 회수됩니다.
7️⃣ 경제 인사이트
“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**‘청년 유동성 정책’**입니다.”
물가 상승과 취업난 속에서도 청년층 소비력을 유지하는 것이
지방경제의 순환을 지탱하는 핵심입니다.
👉 제안 :
✅ 기본소득은 소비에만 쓰지 말고 ‘목표 자산’으로 연결하자.
예: 청년통장, CMA 계좌, ETF 소액투자 등으로 전환해보세요.
📌 청년기본소득을 ‘소비형
→ 자산형’으로 바꾸는 3단계 루틴
1. 지역화폐로 생활비 결제, 현금 절약분 확보
– 기본소득 25만 원을 지역화폐로 사용하면
같은 금액만큼의 현금을 남길 수 있습니다.
→ 이 현금이 바로 ‘투자 재원’이 됩니다.
2. 남은 현금을 목표 자산 계좌로 자동 이체
– 청년내일저축계좌: 정부 매칭으로 최대 3배 지원
– CMA 계좌: 하루 단위 이자 지급 (연 3~4%)
– 소액 ETF 투자: 1만 원 단위로 주식시장 참여 가능
→ 소비를 줄인 금액을 ‘자산 흐름’으로 전환하세요.
3. 루틴화: 매달 25만 원 → 10만 원 저축·투자
– 1년 기준 약 120만 원의 순자산 증가 효과
– 단순 복지가 아니라 ‘미래형 청년 자금 흐름’ 완성
🔹요약
✅ 기본소득을 소비로 끝내지 말고 ‘투자 재원’으로 전환
✅ 지역화폐 → 생활비 결제 → 현금 절약 → CMA/ETF로 이동
✅ 청년세대의 실질 자산 형성 루틴 완성
✍️ 마무리
✅ 신청기간: 2025.10.15 ~ 11.24
✅ 지급액: 분기별 25만 원 (연 100만 원)
✅ 대상: 만 24세, 경기도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
✅ 신청: 경기청년포털 또는 모바일 앱
✅ 지급: 경기지역화폐 (12월 중 지급 예정)
오늘도 부자 됩시다~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'핫 이슈·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“6월 27일 이전 계약자는 LTV 70% 유지” (0) | 2025.10.25 |
|---|---|
| 보유세 인상 신호? 2025년 세금 개편으로 달라지는 내 지갑 (2025년 10월 기준) (0) | 2025.10.24 |
| 10년 8만 원 부으면 60세부터 월 21만 원?전국 최초 ‘경남형 도민연금’, 노후자산의 새로운 모델 (2025년 10월 기준) (0) | 2025.10.22 |
| APEC CEO 서밋 2025 – 글로벌 AI 자본이 한국을 주목하는 이유 (0) | 2025.10.20 |
| 정책 발표 늦다 → 미리 준비해야 할 금융·세제 리스크 (2025년 10월 기준) (0) | 2025.10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