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생활경제

📌 [실생활 금융] 전세자금대출, 다들 받는다는데 나도 될까?

풍요의 신 74 2025. 3. 29. 20:14

 

 

“요즘 집값도 비싼데,
다들 전세대출 받아서 산다던데... 나도 받을 수 있을까?”

 

전세자금대출은 목돈 없이 집을 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대표적인 금융제도예요.
하지만 상품도 다양하고, 조건도 복잡해서 헷갈리기 쉬워요.

오늘은 누가, 어떻게, 무엇을 주의하며 받아야 하는지
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전세자금대출이란?

  • 세입자가 전세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
    은행이나 정부가 일정 금액을 빌려주는 제도
  • 대출 받은 돈은 집주인에게 전세보증금으로 바로 입금됨

→ 대신 보증기관이 필요하고, 조건을 충족해야 가능


✅ 전세자금대출의 주요 종류

상품명특징추천 대상
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정부 지원 / 저금리 / 연 1~2% 수준 청년, 신혼부부, 저소득 무주택자
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19~34세, 사회초년생용 / 연 1.5% 내외 단독세대주 가능
일반 전세자금대출 은행 자체 상품 / 금리는 더 높음 고소득자, 버팀목 대상 외
보증부 전세자금대출 HUG, SGI 등 보증기관이 중간에서 보장 전세금이 5억 이상 등 고액 대상

✅ 전세자금대출 조건 (공통적으로 체크할 것)

  • 무주택 세대주일 것 (또는 전입 예정자)
  • 연소득 조건: 정부지원 상품은 보통 4천만~7천만 원 이하
  • 보증금 한도: 예를 들어 버팀목은 수도권 3억 이하 전세금 대상
  • 신용점수: 일반적으로 600점 이상은 되어야 심사 통과 가능

✅ 신용점수는 여기서 확인


✅ 전세대출 꿀팁: 이렇게 하면 유리해요

  1. 버팀목 → 은행 창구 직접 방문이 유리
    (모바일은 일부 조건 제한될 수 있음)
  2. 청년 전세대출은 ‘계약 전’에 신청해야 함
    → 임대차계약서 체결 전, 사전 승인 필수
  3. 대출 전 세대주 전입신고 준비해두기
    → 전세 계약 후 바로 입주 예정이라는 증빙 필요
  4. 계약할 집의 전세계약서 + 등기부등본 확인
    → 집주인 명의 일치 여부, 근저당 설정 확인

✅ 예시로 보기

청년 A씨 (27세, 연봉 3,200만 원)

  • 무주택, 단독세대주
  • 서울 원룸 보증금 6,000만 원
  • 신용점수 730점

→ 청년 전세대출 (최대 7천만 원) 조건 충족
→ 연 1.5% 금리, 매월 이자 약 7만 5천 원 수준


✅ 주의할 점

  • 보증기관 심사도 따로 있음
    → HUG, SGI 보증 없으면 대출 거절 가능
  • 연체나 신용카드 단기 연체 이력 주의
    → 심사에 직접 영향
  • 대출은 전세 계약서가 있어야 최종 실행됨
    → “계약 후 대출”이 원칙 (단, 사전승인제도 존재)

 

✍️ 마무리 한 줄

 

“전세대출은 돈이 없어서 못 받는 게 아니라,

정보를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.”

 

조건만 맞다면,
금리 낮고 혜택 좋은 정부 상품부터 확인하고 움직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