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실생활 경제] IRP vs 연금저축, 뭐가 다른가요?
“둘 다 연금이라는데, 뭐가 다르고 어떻게 골라야 해요?”
노후 대비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드는 **IRP(개인형 퇴직연금)**와 연금저축.
이 둘은 이름이 비슷하지만, 가입 대상과 혜택, 유연성에서 큰 차이가 있어요.
오늘은 둘을 정확히 비교해드릴게요.
✅ 개념 요약
항목 | IRP (개인형 퇴직연금) | 연금저축 |
가입 대상 | 누구나 가능 (직장인, 자영업자, 무직자) |
소득 있는 사람 |
납입 한도 | 연 1,800만 원 (세액공제는 700만 원까지) |
연 400만 원 (세액공제 한도) |
세액공제 | 최대 115.5만 원 절세 가능 | 최대 66만 원 절세 가능 |
운용 상품 | 예금, 펀드, ETF 등 | 예금, 펀드 등 |
중도인출 | 매우 제한적 (사유 필요) | 거의 불가 |
수령 조건 | 55세 이상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 | 55세 이상부터 연금 형태로 수령 |
✅ 어떤 사람에게 어울릴까?
- IRP 추천
- 직장에서 퇴직금을 IRP로 받을 예정인 사람
- 세액공제를 최대한 받고 싶은 직장인 (연금저축 + IRP)
- 소득이 높은 사람 (세율이 높을수록 환급 금액 커짐)
- 연금저축 추천
- 월급쟁이 + 단기 절세 위주로 활용하고 싶은 사람
- 간단한 구조를 선호하는 사람
- 나중에 IRP로 이체해도 됨
✅ IRP와 연금저축, 함께 가입할 수 있어요
✔️ 연금저축: 최대 400만 원 세액공제
✔️ IRP: 연금저축 포함 최대 700만 원까지 가능
→ 둘 다 합쳐서 세액공제 극대화 가능!
→ 예: 연금저축 300 + IRP 400 = 세액공제 최적화
✍️ 마무리 한 줄
연금저축은 출발점, IRP는 확장판!
둘 다 활용하면 절세 + 노후자산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어요.
📌 [가입 전 체크리스트]
IRP에 가입하기 전 이것만은 꼭!
“절세 혜택이 좋다는데, 무조건 가입하면 좋은 걸까?”
IRP는 혜택이 많은 금융상품이지만,
가입 전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들이 있어요.
✅ 1. 세액공제 대상인지 확인
- 소득 있는 사람만 세액공제 가능
- 직장인, 프리랜서, 자영업자 OK
- 전업주부, 무소득자는 세제혜택 없음
✅ 2. 세액공제 한도 체크
- 연금저축 포함 연 700만 원까지
- 세액공제율:
- 16.5% (총급여 5,500만 원 이하)
- 13.2% (초과 시)
→ 연말정산 환급 금액 예측해보는 게 좋음!
✅ 3. 수수료 확인
- 일부 금융기관은 계좌 수수료/운용 수수료가 있음
→ 무료 수수료 or 저렴한 곳 선택 필수!
✅ 4. 중도해지 리스크 주의
- 55세 이전에 해지하면 → 세액공제 받은 만큼 토해내야 함
- 특별한 사유 없이는 해지가 거의 불가능
✅ 5. 운용상품 구성 이해하고 가입
- IRP는 ‘계좌’일 뿐, 그 안에 든 상품이 수익률 좌우함
- 예금형, 채권형, ETF, 펀드 등 직접 선택해야 함
→ 아무거나 넣으면 ❌… 기본 예금형 + 일부 ETF 조합처럼 설계 필요
✍️ 마무리 한 줄
IRP는 단순한 연금 통장이 아니라,
'세금 아끼며 노후자산을 키우는 전략 상품'이에요.
신중하게 설계하고, 오래 가져갈수록 유리합니다.
'실생활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[실생활 경제] 비상금 통장, 왜 따로 만들어야 할까? (3) | 2025.03.31 |
---|---|
📌 [실생활 경제] 숨은 돈 찾기,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3.31 |
📌 [실생활 금융] 청년 전세자금대출 vs 일반 전세대출, 뭐가 다를까? (4) | 2025.03.29 |
📌 [실생활 금융] 전세자금대출, 다들 받는다는데 나도 될까? (0) | 2025.03.29 |
📌 [실생활 경제] 통장 쪼개기, 이제는 ‘노후’까지 바라보자 (0) | 2025.03.28 |